로고

정대구 시인의 시집 <붑> 출간

강민숙 | 기사입력 2023/07/24 [20:22]

정대구 시인의 시집 <붑> 출간

강민숙 | 입력 : 2023/07/24 [20:22]

정대구 시인의 시집 <> 출간

 

정대구 시인의 시집 <>도서출판 들꽃에서 출간 되었다. 정대구 시인이 마주친 아내와의 상호모순적인 상황이 비장함에 갇히지 않고 골계미로 극복해내는 힘은 아픔을 웃음으로 승화해냈던 우리 민족 고유의 정서를 품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분노와 웃음을 뒤섞은 그의 어조 뒤에서 현실을 감당해내는 통찰은 비록 당장 세상을 크게 이롭게 하지는 않겠지만 대상에 대한 연민과 사랑을 거점으로 형성되었기에 그 가치는 결국 따뜻하게 부각한다. 솔직히 말하자면 우리는 대상의 단점을 바로잡을 힘이 부족하다. 그 대상이 지닌 성질이 단점인지 아닌지에 대한 문제조차 지극히 개인적인 고찰이기 때문에 그것을 부정적으로 말하는 것 역시 옳지 않다. 다만 부부에서 이라는 새로운 의미를 창출시킨 시인에게는 가능할 수도 있다. 그는 이미 상대의 단점까지도 깊이 품어버렸고 자기 이탈의 두려움이 없으며 그러면서도 탁월한 인내심으로 무수히 자기 변모를 꾀하는 노력의 화신이기 때문이다. 그는 인생의 거대 분모를 변경해버리고 부부으로 재발견했다. 게다가 은 감정의 낭비를 최소화하는 의미로서의 개인을 확립하고 있다. 추락하는 자신을 발견하면서도 수렁에 빠지지 않고 승화하는 시인의 노련함과 지혜에 경이감마저 느끼게 된다. 하지만 그가 제시한 의 세계가 젊은 세대들에겐 난공불락의 지대로 여겨질 경향도 없지 않다. 그들에게는 추락을 버텨내는 인내심도 버거운 일이거니와 그것을 즐기고 승화하는 힘은 더 부족할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결혼의 당위성이 점차 약화 되어가는 시대를 살고 있고 부부의 생활에서도 상호존중의 철학이 중대한 가치로 대두되었기 때문이다. 사회문화의 속도와 개인에 따라서 세속성과 거룩함을 추구하는 방식은 달라지고 있다. 하지만 자신만의 생존전략을 찾아서 모순의 경계를 지워가는 노력으로서는 시인에 비견할 대상을 찾기 어려울 것이다. 정대구 시인, 그는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끈기와 인내심으로 모순의 삶을 품고 달관의 세계를 걸어가는 사람이다.

 

시인의 시론은 김삿갓의 해학과 시사성을 뛰어 넘는 민중정서를 진실 담백하게 표현해내고 있다. 예컨대 우리 민족정서 또는 전통적 정서를 충분히 지키면서 이 시대의 현실모순을 지적하고, 질타하는 정대구 시인의 창작적 감각은 경외하다 평가할 수밖에 없다. 무릇 시는 또는 문학은 자신의 기록과 가족공동체를 뿌리로 한 사람공동체의 애환과 그 본질을 당연히 표현하고, 그것이 당대의 역사를 담보하는 시인으로서 본분이며 역할이라 생각할 수밖에 없다. - 문창길 시인

 

그럼 정 시인의 대표시로 꼽고 있는 해학과 풍자와 서민의 애환이 담긴 시를 음미해보자

 

<부부가 이 되기까지>

 

예수님은 결혼도 못한 서른세 살 젊은 나이에 십자가에 못 박혔다 하고

부처님은 야소다라비와 결혼하여 아들 라훌라를 두었다지만

아직 달콤한 신혼이나 다름없는 29세에 집을 나왔다 하고

공자님 역시 외아들 를 낳지만 집에 붙어 있지 못하고

상갓집 개처럼 세상을 떠돌았다*하니

일찍이 장가들어 생기는 대로 아이 낳아 키워내고

은혼 금혼을 넘어 회혼을 바라보는 나는 누군가

젊었을 때는 아옹다옹 티격태격 사랑싸움도 하면서

우려내는 퀴퀴하고 시금털털한 맛 묵혀왔지만

나이 들어갈수록 점점 심해지는 눈 흘김과 꽥 소리 지름

온갖 참견 그 많은 구박 다 받아가며 까닭 없이 들들 들볶이며

일방적으로 당하기만 하는 결혼생활 힘들어

하루에도 몇 번씩 이혼을 꿈꾸며 꿈으로 끝내고

모멸과 수치의 나날을 살아가는 나 왜 사는지

전지전능하고 대자대비하고 생이지지했다는 그들이 알까

다른 건 몰라도 애송이 예수님은 나를 이해하지 못할 것이고

결혼 초반에 가정을 버린 부처님도 마찬가지 나를 모를 것이고

가부장적 권위만을 앞세워 마나님을 쫓아낸 공자님도 다를 게 없어

쇠심줄같이 질기디 질긴 부부의 끈을 이어가며

부부夫婦가 부부婦夫로 어느새 자리바꿈하고

다시 부의 존재가 마모되어

부부는 일심동체 부부婦夫가 둘 아닌 붑이 되기까지

견디어온 아픔 정말 장하다 할까

어리석다 할까

21세기 대한민국의 남편들

실은 부처님 오신 날이면서 부부의 날인 오늘

몇 송이 꽃을 바쳐 볼까

맛있는 외식으로 유도해 볼까

몇 번의 경험으로 미루어

일심동체一心同體는 결코 쉽지 않아

백방百方이 백방白放으로 끝날 수도 있어

붑의 꿈도 물 건너가고

말짱 도루묵 나무아미타불 아멘

나무관세음보살 아멘

 

시인은 시집 <>을 출간하면서 시인의 말에서 소회를 이렇게 밝히고 있다.

시인은 사상가도 철학자도 아니고 과학자나 성인은 더더욱 아니다

부부간에도 울고 웃고 부대끼며 속세를 살아가는 고통을 어렵게 나누며

그날그날 속인으로 평범하게 살아가는 생활인일 뿐이다

하지만 이웃과 더불어 동시대를 증언하는 사람으로서 시인은 역사에 남을 것이다

 

 



정대구 시인: 1936년 경기도 화성에서 태어나 송산중, 인천고와 서울 문리사범대학을 졸업하고, 명지대학교 석사과정을 거쳐 숭실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2<대한일보> 신춘문예 시부문 당선으로 문단활동을 시작 했으며, 영산대학교 교수를 역임했다. 현재 고향 송산도 서관의 현대시창작교실, 서동탄 노작문학관의 논어학당, 서울 여의도복지관 한시감상반 등에서 오래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봉사를 하고 있다. 시집으로나의 친구 우철동 씨』『겨울기도』『무지리 사람들』『우리들의 베개』『두 귀에 바퀴를 달고』『남촌에 전화를 걸며』『수색쪽 하늘』『네 거리에 선 아이들』『쌀을 씻으며』『뿌리의 노래』『어머니의 응답』『동물원에 갇힌 나를 본다』『양산 일기』『구선생의 평화주의』『곰할머니 고맙습니다』『칼이 되어』『흙의 노래』『위대한 김연복 여사』『착한 토끼』『개구리의 꿈』 『지금까지 난 그렇게 신통한 아이는 …』『아직도, 땡감등이 있으며, 산문집녹색평화』『구선생의 평화주의, 저서김삿갓 연구』『김수영 연구등이 있다.

 

 

이 기사 좋아요
기자 사진
문학박사/시인
  • 도배방지 이미지

  • 몽상가
  • 대서방에 들러
  • 고부의 어느 여름 날
  • 허부문 교수의<친일의 시대, 친일가요와 군국가요>
  • 정대구 시인의 시집 <붑> 출간
  • 이옥금 시인의 『꽃이 시들지 않아 하루도 쉴 수 없다』
  • 부치지 못한 편지
  • [막걸리 렙소디]
  • [다시 길을 떠나려한다]
  • [찐짜오 베트남! 깜언 베트남]
  • [수련꽃 더욱 붉다]
  • 세월
  • [제97주년 6.10만세운동 기념식 거행]
  • 함진원 시인의 시집 『눈 맑은 낙타를 만났다』
  • 사람을 찾습니다
  • 김동기 수필가의 [비타민 웰빙동화]
  • 김림 시인의 시집 『미시령』
  • 제2회노동예술제 기념시집 ‘붉은 노동의 얼굴’ 출간
  • [제129주년 부안 동학농민혁명 백산대회 기념식]
  • [제129주년 동학농민혁명 백산대회 기념행사]
  •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