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Undefined index: HTTP_ACCEPT_ENCODING in /home/inswave/ins_news-UTF8-PHP7/sub_read.html on line 3
서평 권순홍(군산대 철학과 교수) 하피터 교수의 사회존재론 (그린비, 2022)에 대한 서평:내외신문
로고

서평 권순홍(군산대 철학과 교수) 하피터 교수의 사회존재론 (그린비, 2022)에 대한 서평

-철학자 이종철이 철학과 비판에서 일갈하듯이, 우리 서양 철학계는 오퍼상이나 다름없다. 국내 연구자의 업적을 등한시하는 풍토

권순홍 교수 | 기사입력 2022/04/26 [08:16]

서평 권순홍(군산대 철학과 교수) 하피터 교수의 사회존재론 (그린비, 2022)에 대한 서평

-철학자 이종철이 철학과 비판에서 일갈하듯이, 우리 서양 철학계는 오퍼상이나 다름없다. 국내 연구자의 업적을 등한시하는 풍토

권순홍 교수 | 입력 : 2022/04/26 [08:16]

서평 권순홍(군산대 철학과 교수)글쓴이 하피터는 미국 롱비치 주립대학교와 벨기에 루벤가톨릭대학교에서 현상학과 하이데거를 전공한 철학자이다. 국내에 정착한 후 경희대 체육대학원 교수로 체육철학과 현상학을 가르쳐왔다. 이 책의 서두에서 글쓴이는 알아듣기 어려운 은어(隱語)에 싸인 하이데거의 존재사유를 험준한 산 정상에 비유한다. 산이 높고 험할수록 산을 정복하고자 하는 등반가의 등정 욕구는 끓어오르는 법이다. 글쓴이는 하이데거의 산 정상에 오르기 위해 지난 한 세기 동안 내로라하는 철학자가 닦아놓은 등산로를 일일이 소개한다. 예컨대 사르트르가 닦은 실존주의의 길, 데리다가 닦은 반주체주의 또는 해체주의의 길, 메를로-퐁티가 닦은 현상학의 길, 하이데거의 충실한 제자인 헤르만이 닦은 존재의 길, 가다머가 닦은 해석학의 길 등 여러 등산로를 소개한다.

권순홍(희피터 교수)
서평 권순홍 교수 

눈에 띄는 것은 글쓴이가 국내 연구자의 하이데거 등정 방법도 등산로 가운데 하나로 소개한다는 점이다. 최근에 김형효, 권순홍, 박찬국, 김종욱, 김진 등이 닦은 불교 철학적 등산로가 그것이다. 유독 이 등산로가 눈에 띌 수밖에 없는 것은 우리 철학계의 풍토 탓이다. 에세이 철학자 이종철이 철학과 비판에서 일갈하듯이, 우리 서양 철학계는 오퍼상이나 다름없다. 국내 연구자의 업적을 등한시하는 풍토에서 볼 때, 우리 연구업적에 대한 글쓴이의 남다른 관심이야말로 크게 돋보인다.

이 책을 읽어보면, 글쓴이가 난해하기로 이름난 하이데거의 존재사유, 무엇보다 존재와 시간의 기초존재론을 기존 등산로에서보다 더 쉽고 바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새로운 등산로를 묵묵히 개척해왔음을 알 수 있다. 다름 아니라 사회존재론의 길이 지난 시절의 기존 등산로를 비판적으로 평가하는 가운데 글쓴이가 개척한 새로운 등산로이다. 이 두툼한 책에서 글쓴이는 스스로 개척한 사회존재론적 등산로를 밟아서 어떻게 하이데거의 존재사유의 험준한 꼭대기에 올랐는지를 잘 서술한다. 그것도 하이데거에 갓 입문한 초심자를 위해 논의를 부연하면서까지 친절하게 설명한다.

좁게는 하이데거의 기초존재론을 향한, 넓게는 존재사유를 향한 사회존재론적 등산로가 어떤 길인지를 밝히기 위해 글쓴이는 이 책 전반에서 데카르트, 칸트, 헤겔, 쇼펜하우어, 제임스, 후설, 셸러, 딜타이, 짐멜, 가세트, 레비나스, 들뢰즈, 헤라클레이토스 등등 기라성 같은 여러 철학자의 철학사상을 때로는 비판적으로, 때로는 우호적으로 해석하고 풀이한다. 또한 글쓴이는 주제적으로든지 전()-주제적으로든지 간에 이성의 눈으로 자연적 존재자를 그 보편적 원리와 특징에서 해명하고자 한 자연존재론이 고대 그리스로부터 근대의 데카르트를 거쳐 현대의 후설에 이르기까지 전통 존재론의 주류를 이루어왔다는 것을 밝힌다. 한편 하이데거가 전통적 자연존재론의 강력한 영향력을 뒤로하고 사회존재론적 맥락에서 세계를 실마리로 삼아 현존재의 실존과 세계--존재의 양태를 들여다보게 된 배경으로 셸러의 지식사회학, 쇼펜하우어의 반이성주의적 의지 담론, 딜타이의 정신과학, 헤겔의 정신 개념과 역사성을 꼼꼼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 책에서 무엇보다 눈을 크게 뜨고 주목해야 할 것은 하이데거에 대한 표준적 해석에 익숙한 사람을 놀라게 하는 기초존재론에 대한 글쓴이의 사회존재론적 해석들이다. 도구에 대한 실천적 배려와 실천적 노동을 통해 전()-의식적으로 형성된 사회적 세계에서 그렇게 사회적 존재양태로 실존하는 사회적 세계--존재, 익명의 그들(das Man) 사이로 흩어진 채 사회역사적 전통에서 뿌리가 뽑힌 비본래적 자기, 민족과 같은 공동세계(Mitwelt)의 지평에서 단일한 의지로 결속된 사회역사적 공동체의 단일체로 존재하는 본래적 자기, 민족 공동체에서 습속적 자기(sittliche Selbst)로 존재하는 본래적 현존재의, 자의(Willkür)와 구별되는 정황적 자유(befindliche Freiheit), 인간의 자연적 충동에 앞서는 현존재의 근원적 염려, 인간을 자연적 흙의 자연적 세계에서 존재하는 한낱 자연적 존재자로 보는, 곧 이성을 지닌 동물적 인간(homo animalis)으로 보는 전통적 인간 개념, 경작된 토지의 사회적 세계에서 사회적 존재자로 거주하는 인간적 인간(homo humanus), 곧 대지적 인간 개념 등등에 대한 사회존재론적 풀이와 해명은 여태까지 하이데거에 대한 표준적 해석과 기존 등산로에서는 접할 수 없었던 놀라운 통찰들이다.

이 책을 읽는 즐거움은 새로운 해석의 맛을 선사하는 하이데거에 대한 탁월한 사회존재론적 해석들과 거기에 담긴 철학적 통찰들에 있다는 것은 말할 나위가 없다. 그럼에도 이 책에서 아쉽게 생각되는 점이 없지는 않다. 사실 글쓴이가 사회존재론의 맥락에서 현존재의 실존론적 불안을 짚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죽음을 앞에 둔 근원적 불안의 개별화 작용과 세계--존재의 사회적 존재 사이의 알력을 어떻게 화해시킬 수 있는지를 좀 더 자세히 다루지 않은 것은 이 책의 아쉬운 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기사 좋아요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