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부산시 고령자 교통사고 사망자 수 지난해 42% 감소

령자 교통사고 사망자 감소율 전국 1위

정주은 | 기사입력 2019/01/08 [14:00]

부산시 고령자 교통사고 사망자 수 지난해 42% 감소

령자 교통사고 사망자 감소율 전국 1위

정주은 | 입력 : 2019/01/08 [14:00]

▲ 부산시는 지난해 7월 벡스코 시니어박람회에서 교통안전 교육과 자진 반납 안내를 진행했다. 


[내외신문]정주은 기자= 부산시가 지난해 부산 고령자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전년 대비 42%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부산시와 부산지방경찰청에 따르면 2018년도 부산시 고령자 교통사고 사망자수(고속도로 제외, 잠정통계)가 2017년 77명에서 2018년 45명으로 32명이 감소(42%)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2월 국토교통부와 경찰청이 발표한 2018년 11월 기준 전국 교통사고 사망자 수 통계자료에서도 부산시의 고령자 교통사고 사망자 감소율이 40%대로 전국 평균 6% 감소율을 큰 폭으로 웃돌며 전국 1위를 차지한 바 있다.

부산시의 고령 인구 비율이 16.5%(2018년 기준 통계청 자료)로 특·광역시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간 고령 인구 증가에 따라 고령자 교통사고 사망자도 지속해서 증가 추세였다.

부산시는 초고령 사회 진입 대비 고령자 맞춤 교통안전 대책이 시급하다고 판단 지난해 3월 ‘고령자 교통사고 사망자 줄이기 대책’을 수립했다.

고령 보행자 안전 보호, 고령 운전자 안전운전 지원 등 3대 분야 9개 과제를 대책에 담아 한발 앞선 고령자 교통안전 정책을 추진한 결과가 고령자 교통사고 사망자 감소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한다.

먼저  부산시는 고령 보행자 안전 보호를 위한 교통안전 교육이 체계적으로 진행되지 못했던 점을 개선하기 위해 지난해 5월부터, 구·군, 부산지방경찰청, 도로교통공단, 한국교통안전공단, 대한노인회와 합동으로 노인복지관·노인 교실·경로당 등 3,000여 개 노인 여가시설 중심으로 약 20만 명의 고령자를 대상으로 교통안전교육을 주기적으로 지속 시행했다.

특히, 전국 최초로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장 2개소를 활용해 안전한 보행방법을 고령자 스스로 직접 체험하는 고령자 교통안전 방문교육도 약 5천 명의 어르신을 대상으로 시행했다.
 

▲ 부산시는 지난해 7월 벡스코 시니어박람회에서 교통안전 교육과 자진 반납 안내를 진행했다. 

또한 고령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위해 고령자 운전면허 자진 반납자에게 우대혜택을 제공하는 정책도 전국 최초로 도입했다. 교통카드 10만 원 지원과 병원·식당·의류점·안경점 등 상업시설 이용 시 5~50%의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어르신 교통사랑 카드’ 발급 제도를 시행함으로써 지난 한 해 5천 명이 넘는 고령 운전자가 면허증을 자진 반납했다. 전년도보다 약 12배 증가한 수치이다.

올해부터는 서울시 양천구, 진주시 등 타 지자체에서도 부산시 사례를 벤치마킹해 시행 예정이다.

고령자 교통사고 사망자 감소 등을 바탕으로 부산시 2018년도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 수도 2017년 162명에서 2018년 122명으로 40명이 감소(25%)했다. 최근 5년간 가장 큰 폭의 감소폭이다.

한편 부산시는 올해에도 사람.안전 중심의 교통안전 정책을 지속해서로 추진할 계획이다.

고령자 교통안전 교육을 시행하고, 고령자 운전면허 자진반납 우대제도도 보완·발전하여 고령자 교통안전 대책도 꾸준히 추진할 예정이다. 고령자 교통안전 교육을 전담할 인력을 자체 채용하여 교통안전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고, 고령자 운전면허 자진반납자 교통비 지원 예산도 확대했다. (연간 4천 명 지원) 어르신 교통사랑 카드 가맹점도 지속해서 발굴할 예정이다.

또한 올해는 보행자의 안전을 높이고 걷고 싶은 도시 조성을 위해 도시부 차량통행 속도를 하향하는 ‘안전속도 5030’ 사업도 하반기부터 본격 시행한다. 주·간선도로는 시속 50km로, 기타도로는 시속 30km로 제한속도가 조정된다.

 

 

(사진제공:도로교통공단) 

 

내외신문 / 정주은 기자 busan@naewaynews.com 

 

 

 

이 기사 좋아요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