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부산시, ‘2018년 지속가능 교통도시 평가’ 대상 수상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 승용차 수요관리 등 성과

정주은 | 기사입력 2018/12/20 [13:01]

부산시, ‘2018년 지속가능 교통도시 평가’ 대상 수상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 승용차 수요관리 등 성과

정주은 | 입력 : 2018/12/20 [13:01]

▲ 부산 연제구 인근 도로 교통 모습 

  

[내외신문]정주은 기자= 부산시가 국토교통부 주관 ‘2018년 지속가능 교통도시 평가’에서 대상을 수상했다고 20일 밝혔다.


지속 가능 교통이란 교통의 안전도 향상,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교통혼잡비용 절감 등 교통 부문의 환경적·사회적·경제적 속성들이 조화를 이루어 지속 가능하게 발전하는 것으로, 미래세대의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능력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현세대의 필요를 충족시키며 발전하는 것을 뜻한다.

「지속가능 교통물류 발전법」에 따라 국토교통부 주관으로 2014년부터 시행해 오고 있는 ‘지속 가능 교통도시 평가’는 인구 10만 명 이상 75개 도시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대중교통의 경쟁력 향상, 교통 혼잡비용 절감 등 교통부문의 환경적.사회적.경제적 속성들의 현황과 정책수준을 종합해 평가한다.

현황평가는 객관적인 통계 데이터를 통해 시행하는 정량평가로 인구당 도로교통사고 사망자 수, 사고건 수, 교통문화지수, 대중교통 경쟁력, 교통혼잡비용 등 20개 지표로 구성된다.

정책평가는 지자체의 노력도를 평가하는 정성평가로 승용차 수요관리, 보행자 중심의 정책 수립 노력, 교통약자를 위한 정책적 노력, 교통연계망 구축 노력 등 12개 지표로 구성된다.

이번 평가에서 부산시는 대중교통 경쟁력 확보를 위한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 시책 추진, 친환경 교통수단 보급 노력, 승용차 요일제 등 승용차 수요관리를 위한 노력, 사망자 줄이기 대책 추진 등에서 높은 평가점수를 획득했다.

이번 수상으로 시가 추진하고 있는 승용차 수요관리 시책과 대중교통 혁신시책이 더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부산시 관계자는 “민선 7기를 맞아 ‘차량·속도’ 중심이었던 교통을 ‘사람·안전’ 중심의 대중교통체계로 혁신해 나갈 계획이며, 시민이 행복한 지속 가능한 교통도시 부산을 만들어 2021년까지 대중교통수송분담률 50%를 달성해 낼 계획이다”고 밝혔다.

 

내외신문 / 정주은 기자 busan@naewaynews.com 

이 기사 좋아요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