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국외 유명 사이트 이용 문화재 밀반출 적발

김정태 | 기사입력 2013/06/14 [05:59]

국외 유명 사이트 이용 문화재 밀반출 적발

김정태 | 입력 : 2013/06/14 [05:59]


문화재청(청장 변영섭)은 서울지방경찰청(청장 김정석) 광역수사대와 공조 수사하여, 국외 유명 인터넷 경매 사이트(ebay)에 문화재를 입찰하여 낙찰되면 국제우체국 또는 국제택배, 여행가방 속에 은닉하는 수법으로 고서적, 도자기류 등 일반동산문화재 187점을 국외로 밀반출한 피의자 5명을 검거하고, 반출 문화재 86점을 회수했다.

피의자들은 범행이 발각되지 않도록 운송장 품목을 거짓으로 기재하거나, 여행가방 상ㆍ하단에 나누어 운송하는 등 치밀하고 계획적인 수법으로 문화재를 국외로 밀반출했다.

문화재청은 경찰청과의 긴밀한 공조를 통하여 앞으로도 국외 밀반출 사범을 끝까지 추적하여 검거하고, 피해품은 반드시 회수할 예정이다.

피의자 장씨(26)등 4명은 ’09.8.8~’13.5.13까지 국외 유명 인터넷 경매 사이트에 일반동산문화재를 경매물품으로 등록하고, 낙찰되면 남양주우체국 등에서 일반동산문화재 고서적 ‘시선집’ 등 158점을 국제소형등기(RR) 등으로 우편 발송하여 미국 등으로 밀반출했다.

또한 김씨(50)는 ’13.3.1. 항만 보안 엑스레이(X-ray) 검색대에서 여행가방 상단과 하단에 가치가 다른 고서적을 분리해 숨겨 넣고, 적발 시에는 상단 고서적만 제출하는 수법으로 일반동산문화재 고서적 ‘십죽재서화보’ 등 28책을 숨겨 중국 등으로 밀반출했다.

밀반출된 고서적 등의 문화재적 가치로, ‘십죽재서화보(十竹齋書畵譜)’는 타이페이 고궁박물관 소장본을 저본(底本, 원본)으로 한 중국 청대에 간행된 판본으로, 조선에 수입되어 당대의 김홍도, 정선, 강세항, 심사정 등 조선화단(朝鮮畵壇)에 영향을 주었던 서화보로 평가된다.

조선 중기 문신 박세채의 ‘염락풍아(濂洛風雅, 1678)’ 필사본, 도자기와 토기류 유물은 당대의 역사적 배경과 문화의 한 단면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자료이다.

이 기사 좋아요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