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김관용 지사, 개도국 장.차관 대상으로 지자체 대표 발제자 나서

편집부 | 기사입력 2015/11/24 [22:09]

김관용 지사, 개도국 장.차관 대상으로 지자체 대표 발제자 나서

편집부 | 입력 : 2015/11/24 [22:09]


[내외신문=서석웅 기자]‘2015 지구촌 새마을 지도자 대회’가 24일부터 오는 27일까지 4일간 황교안 국무총리, 개도국 장.차관 등 새마을관련 국내외 인사 550명이 참석한 가운데 인터불고 호텔에서 열린다.

 

이번 행사는 해외 개도국 현장에서 활동하는 새마을 지도자들을 격려하고 새마을운동 성공사례와 경험 등을 공유하기 위한 자리로, 경북도는 이날 개막식에서 김관용 경북도지사 축사와 새마을 운동 활성화를 위한 지방정부의 역할에 대한 발제, 새마을운동 발상지 투어 지원 등으로 이 행사의 성공적 개최를 적극 뒷받침하고 있다.

 

첫째 날, 김관용 도지사는 축사에서 새마을운동의 발상지인 대구경북을 찾아준 지구촌 새마을 가족들에게 감사하고, 또한 그동안 추진해 온 새마을운동의 효과적인 추진과 성공적 전략방안을 지구촌 새마을 지도자들과 한자리에 모여 모색미 위한 뜻 깊은 자리라고 강조했다.

오후에는 ‘고위급 라운드 테이블’에서 행자부 관계관, 개도국 장차관 15명, 농진청장 등 총 18명이 참석하고, 각국 대표단 20명, 주한 개도국 대사 18명 등을 대상으로 새마을운동을 지구촌에 확산.보급하고 있는 김관용 도지사가 전국 지방자치단체를 대표해서 ‘새마을운동 활성화를 위한 지방정부의 역할’이란 주제로 발표했다.

 

김 지사는 새마을운동의 발생배경, 새마을운동은 대한민국의 근대화의 기틀, 새마을운동에 대한 지방행정의 역할과 변화, 경북의 새마을세계화사업 등에 대하여 발표했다. 특히 개도국에서 온 고위인사들은 김 지사에게 많은 지원에 감사하다면서 앞으로도 새마을운동 발상지 道로서 개도국의 많은 마을들에게 새마을을 확대.전수해 줄 것을 요청했다.

 

이에 대해 김 지사는 “현재 9개국 27개마을에 해외새마을봉사단이 파견돼 있고, 내년부터는 15개국 42개 마을에 해외새마을봉사단을 확대?파견해 개도국의 빈곤퇴치에 박차를 가해 나갈 것”이라면서, “경상북도의 새마을운동은 지구촌 빈곤퇴치의 성공 모델로서 각광받고 있고 지난 9월 UN차원에서 새마을운동이 21세기 개발도상국에 적용가능한 신농촌개발 패러다임으로 제시돼 주목받고 있더”고 말했다.

김 지사는 이어 “경북도는 2005년부터 새마을세계화 사업을 통해 개도국 농촌의 현대화로 식량 자급화 및 생활환경개선 등으로 주민들 스스로 할 수 있다는 자부심과 자신감을 갖도록해 새마을운동을 전 지구촌으로 확산시켜 나갈 계획”이라면서, 경상북도는 초청자중 개도국 지도자 150명을 대상으로 1박2일간 경북 지역내 새마을발상지기념관 등 경북 새마을운동 발상지 투어를 실시해 새마을운동 현장을 직접 눈으로 보고 느끼고 체험할 기회도 제공했다.

 

청도군 신도리 새마을운동 시범단지, 포항 문성리 새마을체험공원, 구미 새마을운동 테마공원 등 새마을 발상지에서 역사적 의의를 배우고, 포항.청도 새마을운동 발상지기념관에서 새마을정신의 태동을 체험하는가 하면 새마을 금고 견학으로 근검절약 정신을 체험해 새마을운동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시간도 가졌다.

 

한편, 경북도는 현재 에티오피아, 르완다, 탄자니아, 스리랑카, 인도네시아 등 9개국 27개 마을에 418명의 봉사단을 파견해 새마을 시범마을을 조성하고 있고, 앞으로 경상북도 새마을 세계화 모델이 전 세계로 전파.확산될 수 있도록 사업을 확대시켜 더불어 함께 잘 사는 행복한 지구촌을 만들어 나갈 계획이다.

이 기사 좋아요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