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21세기는 가스의 시대...석유에서 가스로 대처

가스가 석유 대체제 ‘친환경적·높은 효율’20세기 석탄에서 석유로 대체중국 한 발 앞선 행보

내외신문 | 기사입력 2019/12/19 [19:44]

21세기는 가스의 시대...석유에서 가스로 대처

가스가 석유 대체제 ‘친환경적·높은 효율’20세기 석탄에서 석유로 대체중국 한 발 앞선 행보

내외신문 | 입력 : 2019/12/19 [19:44]
석유의 시대에서 가스의 시대로 변화하고 있다.
석유의 시대에서 가스의 시대로 변화하고 있다.

 

20세기 석탄에서 석유로 대체

1차 산업혁명의 원동력인 증기기관이 개발되었을 당시 주요 에너지원은 석탄이었다. 20세기에 접어들면서 석탄에서 석유로 에너지원은 대체되었다. 이는 2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하면서 증기기관에서 내연기관으로 바뀌게 되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석유는 현재도 명실상붕주된 에너지원으로 활용되고 있지만 그 비중이 점차 하락하기 시작했다. 전 세계에서 석유의 소비 비중은 1970년대 오일쇼크 이전까지 45%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지만 계속해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기 시작하더니 2018년엔 33%까지 떨어졌다.

석유를 대체할 에너지원으로 가스가 주목받고 있다. 가스의 비중은 같은 기간 17%에서 24%까지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전 세계의 에너지 헤게모니가 아마도 이러한 추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가스가 석유 대체제 친환경적·높은 효율

가스가 석유를 대체할 수 있는 이유는 아주 간단하다고 할 수 있다. 가스는 석유에 비해 친환경적이며 또 에너지 효율이 높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가스는 2000년 전후로 미국의 셰일가스 붐이 발생하면서 공급증가로 인해 가격도 석유보다 저렴하다는 특징이 있다. 가스는 석유와 비교해 3분의 1 수준의 가격을 형성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되면서 전기의 시대로 변화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석유는 현재 절반가량의 수요가 자동차 연료로 이뤄진다. 4차 산업혁명의 인공지능-자율주행 시대가 오면서 전기차로 대체되기 시작했다. 이제는 원유보다는 전기를 사용해 자동차를 이용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높은 인공지능 영역 산업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테이터센터가 늘어나게 되고 필연적으로 전력 사용량은 증가하게 된다. 중국의 글로벌 ICT기업 화웨이(Huawei)2018년 현재와 같은 속도로 인공지능이 확대될 경우, 데이터센터의 전력 소비량이 2015년부터 2025년까지 10년 동안 연간 33.3% 증가하게 되고 결국 이로 인해 2025년에는 전 세계 전력 소비의 23%ICT 계열, 그중 13%가 데이터센터 전력소비가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처럼 다양한 시대의 변화 속에서 주요 에너지원이었던 석유에서 가스로 변화하는 것은 환경, 경제, 기술 등 시대적 추세로 살펴볼 때 당연한 일처럼 받아들여진다.

중국 한 발 앞선 행보

중국 정부는 대도시들의 공기오염 등 심각한 환경문제로 2014년 천연가스 시대로의 전환을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2013년 가스 생산량이 약 120bcm이었던 중국은 2020년까지 가스 공급량을 420bcm(십억입방미터)까지 늘리겠다고 밝혔다.

 

중국은 계획 실행을 위해 전 세계 가스 매장량 4위 국가인 투르크메니스탄과 전략적 제휴를 맺으면서 파이프라인 천연가스(PNG, Pipeline Natural Gas)의 수입을 급격하게 증대시키는데 성공했고, 가스 매장량 1위인 러시아와도 시베리아의 힘(Power of Siberia)’이라는 새로운 PNG 계약에 성공하면서 2019년 말 수입 개시를 앞두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은 2015LNGPNG의 수입량은 각각 약 30bcm에 불과했지만, 불과 3년 만인 2018년에는 이 수치가 각각 약 70bcm50bcm으로 증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가스 소비량은 2014년까지만 해도 약 190bcm에 불과했지만, 2018년에는 280bcm을 초과하기에 이르렀고, 2020년에는 원래 목표였던 420bcm에 육박하는 수치까지는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의 이런 가스 시대로의 전환이 현재 보다 더 속도감 있게 진행될 개연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시대의 흐름에 발맞춰 우리나라 역시 가스의 사용을 늘리고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모색해야할 시기로 보인다.

여시재 연구자료 참조인용 보도

 

이 기사 좋아요
  • 도배방지 이미지

여시재, 가스시대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