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남북언론교류, 현재는 연목구어…교류 여건 마련해야

박성연 | 기사입력 2018/08/18 [10:57]

남북언론교류, 현재는 연목구어…교류 여건 마련해야

박성연 | 입력 : 2018/08/18 [10:57]


▲16일 열린 '남북 언론교류, 어떻게 할 것인가' 토론회
[내외신문=박성연 기자] "분단된 조국에서 우리가 북쪽의 현장 취재도 못한다는 것은 가슴에 납덩이처럼 들어앉아 한이 되고 있다"
남북 정상 회담 4.27 판문점 선언 이후 남북언론교류에 대한 언론인들의 진지한 목소리가 나왔다.
16일 오전 한국언론진흥재단 주최로 서울 프레스센터 19층 기자회견장에서 열린 '남북 언론교류 어떻게 할 것인가' 토론회가 개최됐다.
토론회는 김정기 한양대 교수가 사회를 맡았고, 최학래 한겨레 고문이 발제를 했으며, 김보근 한겨레 기자, 김석규 통일부 사회문화교류과장, 김영욱 카이스트 연구교수, 이기범 숙명여대 교수, 정일용 연합뉴스 통일언론 연구소 소장, 정창현 국민대 겸임교수가 토론자로 나섰다.?
2000년 김대중 정부 당시 언론사 사장단 방북 대표를 맡았던 최학래 한겨레 고문은 남북 언론 교류를 위해서는 서로 다른 위상과 기능을 이해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최 고문은 "북한 언론의 기능은 국가 또는 당의 선전, 선동 기능을 맡은 기관이기 때문에 독자적인 비판이 불가능하다. 언론에 대한 사회적 대접이 굉장히 낮다. 그러다 보니 북쪽 관료들은 남쪽 언론을 선전, 선동 기구로 우습게 본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남북 언론이 접촉이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 남북 언론 교류를 축적하기 위해서 이를 조정하는 새로운 기구가 필요하다. 대표자가 바뀐 후에도 꾸준하게 이어져갈 수 있는 교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겨레 신문 김보근 기자는 "한국전쟁이 끝난 지금까지도 전쟁 저널리즘이 언론에 팽배하다고 생각한다. 남북 언론들이 적대적 시각으로 상대방을 보도하고 있기 때문에 남북 간의 취재가 어려운 것"이라며 "서로 간의 적대 지수를 완화하도록 체크하는 언론재단의 준거틀, 민간단체의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피드백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김영욱 카이스트 연구교수는 독일 통일의 경험을 언급하며 많은 제약이 있더라도 현장에 가서 상주하면서 취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22명의 서독 언론인이 통일 때까지 동독에 상주하였다. 동독 정부는 서독 언론을 겨냥하여 동독 연맹 비판 금지, 어길 시 처벌 조항을 적용시켰다. 이러한 제약에도 불구하고 서독 언론들은 동독의 실상을 정확히 알리기 위해 동독 정부의 눈치를 보지 않고 비교적 정확한 보도로 양쪽 주민들의 신뢰를 얻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서독 언론이 부정확하게 보도해서 불필요한 갈등을 만들어냈다면 통일하자는 여론이 형성되기 어려웠을 것이다"고 진단했다.?
이기범 어린이어깨동무 이사장이며 숙명여대 교수는 북측 언론인들과 자주 만나는 자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 교수는 "중요한 것은 교류의 여건을 만들어 사람이 사람을 만나서 취재를 하고 보도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언론 교류를 할 수 있는 많은 준비가 필요하고, 북측의 변화를 비교할 수 있는 현실 감각과 언론 감각이 동시에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정일용 연합뉴스 통일언론연구소 소장은 언론교류가 제대로 되기 위해서 특수자료취급지침을 당장 없애고 더 나아가 국가보안법도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소장은 "지금 저보고 평양 특파원 가라 해도 상당히 두려울 것 같다. 가서 기사 쓴 것을 국가보안법 걸어버리면 간첩 아닌가. 돌아오면 감옥에 집어넣어 버린다고 할 것 같은데 누가 거기를 갈려고 할 것이며, 찬양도 아니고 사실대로 쓴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이적 찬양했다고 여기서 걸어버리면 어떻게 하겠나. 많은 제약을 놔두고서 북쪽 만나서 ‘평양 가자’라고 하는 이야기는 좋게 이야기해서 우물가에서 숭늉 찾는 격이고 나쁘게 말하면 연목구어다"라며 답답한 심정을 토로했다. 그는 이어 "정부에서 언론교류라는 문제를 대단히 중요한 문제로 다루어주었으면 좋겠다"며 정부의 적극적 자세를 요구했다.
이 기사 좋아요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