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4대강 보, 가뭄·녹조·홍수 등 탄력적 운영한다는 의미

국가물관리위, 광주·전남 가뭄 해소 위해 하루 61만톤 물 확보 등 대책 의결

전용현 기자 | 기사입력 2023/04/27 [03:24]

4대강 보, 가뭄·녹조·홍수 등 탄력적 운영한다는 의미

국가물관리위, 광주·전남 가뭄 해소 위해 하루 61만톤 물 확보 등 대책 의결

전용현 기자 | 입력 : 2023/04/27 [03:24]

[내외신문=전용현 기자] 정부가 4대강 보를 가뭄·녹조·홍수 등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영하기로 했다는 것은 4대강 보를 가뭄, 녹조, 홍수 등 상황에 따라 탄력적 운영에 간락하게 살펴보면 가뭄이 예상되는 지역에 대해서는 미리 보 유수량을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대비하고 또한, 수돗물 생산용 보급을 위해 댐 위생상태 개선과 연계하여 시설물 유지관리를 강화하는 등 대응책을 마련한다는 뜻이다. 

 

또한 녹조 대비를 위해서는 녹조가 발생하는 강상 부지를 미리 예측하고, 미리 보 유수량을 증가시켜 녹조가 진행되지 않도록 대응하고 녹조 유발원인인 질산염류 배출량 감축을 위한 노력도 병행되어,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녹조 발생을 예방하면서 

 

홍수 대비를 위해서는 홍수 예측 및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보 운영 기관과 관계기관 간의 연계를 강화하여 효율적인 대응체계를 구축한면서 예방적 측면에서는 보 주변 환경개선 및 하천 유역 복원 사업 등을 추진하여 홍수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노력한다면 

이러한 방식으로 4대강 보를 가뭄, 녹조, 홍수 등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영함으로써, 4대강 유역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에 대해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 광주·전남 가뭄 해소를 위해 하루 61만톤 상당 물을 추가적으로 확보한다.

대통령 직속 국가물관리위원회는 25일 제2기 첫 회의를 개최하고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영산강·섬진강유역 중장기 가뭄대책안’ 등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대책안에 따라 영산강·섬진강 유역의 최대 미래 물수요를 예측, 2단계에 걸쳐 연간 61만톤의 물 추가 공급을 추진한다.

 

▲ 가뭄대책안 주요내용.  ©



1단계 대책으로 ▲물 공급체계 조정 ▲대체 수자원 확보 ▲비상연계 ▲보 활용 ▲신규 수자원 개발 등을 통해 하루 최대 45만톤의 물을 추가확보한다.

 

구체적으로는 주암댐에서 광주·목포 등 영산강 유역 6개 시·군에 공급하는 물량의 일부를 장흥댐에서 대체 공급할 수 있도록 도수관로를 연계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확보된 주암댐 여유물량을 여수산단에 추가 공급할 수 있도록 취수시설 및 도수관로(45.7km) 설치를 추진한다.

 

또 광양산단에 물을 공급하는 수어댐 물 부족시 주암댐에서 광양산단으로 직접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비상 공급시설인 취수장과 가압장 설치도 검토한다.

 

여수시 공공하수처리시설 내 하수 재이용수 생산시설을 설치(5만톤/일)하고 발전 온배수 등을 활용한 해수담수화 시설(15만㎥/일) 건설도 검토하기로 했다.

 

광주시 식수원인 동복댐 물 부족 시 영산강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비상연계 시설을 설치하고 주암댐 가뭄 발생 시 보성강댐 발전용수를 주암댐으로 보내 생활·공업용수로 활용하는 방안을 체계화하는 내용도 담겼다.

 

기존의 획일적인 보 운영방식에서 전환해 영산강 유역의 승촌보와 죽산보를 가뭄·녹조·홍수 등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영한다.

 

보를 통해 확보한 물은 하천유지용수와 농업용수로 사용하고 기존에 농업용수로 사용하던 상류 저수지 물을 일부 생공용수로 활용할 계획이다.

 

지역 중심 중·소규모 댐 개발, 지자체가 관리하는 저수지 증고 등 신규 수자원 개발을 통해 수원을 확보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추진한다.

 

2단계 대책은 극한 가뭄시 사수 등 댐 비상용량 활용, 섬진강 추가 취수 등을 통해 1단계보다 하루 16만톤 이상 용수를 추가로 확보하는 내용이다.

 

아울러 전국 유인도서의 60%(280곳)를 차지하는 전남지역 특성을 감안해 섬에 지하수댐, 이동식 모듈형 해수담수화 설치 등을 활용한 용수 공급도 실시할 계획이다.

 

국가물관리위원회는 지난해 수도권 집중호우 및 태풍 힌남노 등 주요 홍수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마련된 ‘2023년 여름철 홍수대책안’도 논의했다.

 

홍수예보 고도화를 위해 AI 홍수예보 도입을 추진한다. 도림천 유역에는 오는 5월부터 AI·DT(디지털 트윈) 기반 도시침수 예보를 시범 운영한다. 도시침수지도 제작은 내년에 조기완료하기로 했다.

 

극한홍수에 대응해 대심도 빗물저류터널(서울 강남역·광화문)과 홍수조절댐(포항 냉천)을 건설하는 등 홍수대응 인프라도 추가로 구축한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기후위기 시대를 맞아 보다 효율적이고 스마트한 물관리,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물관리, 조화로운 물관리를 물관리의 세가지 핵심방향으로 삼겠다”며 “국가물관리위원회가 과학적이고 합리적 방안에 근거해서 다양한 갈등과 이해관계를 조정하고 합의점을 찾아나가는 역할을 해달라”고 당부했다.

이 기사 좋아요
기자 사진
시민포털 지원센터 대표
내외신문 광주전남 본부장
월간 기후변화 기자
사단법인 환경과미래연구소 이사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