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Undefined index: HTTP_ACCEPT_ENCODING in /home/inswave/ins_news-UTF8-PHP7/sub_read.html on line 3
세종대·세종대 산학협력단·세종연구원, 세종과학기술원(SAIST) G2 프로젝트(스텔스 고기동 무인기SMET) 세미나 공동 주최:내외신문
로고

세종대·세종대 산학협력단·세종연구원, 세종과학기술원(SAIST) G2 프로젝트(스텔스 고기동 무인기SMET) 세미나 공동 주최

조동현 | 기사입력 2023/12/20 [16:40]

세종대·세종대 산학협력단·세종연구원, 세종과학기술원(SAIST) G2 프로젝트(스텔스 고기동 무인기SMET) 세미나 공동 주최

조동현 | 입력 : 2023/12/20 [16:40]

[내외신문 =조동현 기자] 세종대학교(총장 배덕효), 세종대학교 산학협력단(단장 유상호), 세종연구원(이사장 김경원)이 공동으로 지난 1215일 세종대 광개토관에서 세종과학기술원(SAIST) G2 프로젝트(스텔스 고기동 무인기:SMET) 세미나를 주최했다.

 

▲ G2 프로젝트(스텔스 고기동 무인기SMET) 세미나 [사진제공=세종대학교]



이번 세미나에서 배덕효 세종대 총장은 환영사를 통해 비교적 낯선 분야인 스텔스에 대해 많이 배우고 국가 대형과제로 연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주명건 세종대 명예이사장은 기조연설에서 이번 세미나는 항공우주 분야에 있어 스텔스 무인기를 통해 한국이 급변하는 전쟁의 양상 속에서 어떻게 생존할 수 있는가를 모색하는 자리라며 세종대에는 이미 훌륭한 연구원들이 많지만, 한 단계 더 도약을 해서 국운을 개척하는 선봉장이 나오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주제 발표가 진행됐다. 첫 번째 발표자로 나선 세종대 우주항공학과 안존 교수는 고기동 스텔스 무인기 기술의 현황 및 미래기술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안 교수는 소형화, 대형화(UCAV), 수직이착륙이 가능한 방향으로 광대역 전자 통신 기술을 활용해 송수진 정보의 고품질화를 추구하고 저비용 고성능 디지털 센서 기술과 정밀 항법 기술, AI 기술의 발전 및 확산에 따른 무인기 자율화 기술이 대두될 것이라며 무인 항공기 개발 역사를 통해 핵심 기술을 고찰했다.

 

그는 가변 사이클 터보팬 엔진으로 고효율 추진 장치를 장착한 스텔스(Radar/IR/Acoustic) 기술이 발전·확산·응용될 것으로 보이며, 고강도 복합 소재 개발에 따른 기체 구조 강도 향상 및 경량화를 바탕으로 고기동성 자율 운용에 기반한 공중우세 확보가 중요한 쟁점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세종대 우주항공학과 홍성경 교수가 ‘K-Gremlin을 위한 무인기 핵심기술'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홍 교수는 현재 미국에서는 유인기 대체가 아니라 상황 인식·생존성·신속한 의사결정 향상에 기여하는 협력적이고 지원적인 파트너 역할을 하는 유·무인 전투기 복합체계(MUM-T)와 로열 윙맨(Loyal Wingman), 적의 방공망 사정거리 밖에서 재사용 가능한 다량의 드론을 발사하고 회수하는 시스템 개발을 핵심으로 하는 저비용 소모허용 재사용 항공기(LCAAT/LCASD Projects) 등을 주요 대응 전략으로 삼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세종대 S-UAV 관련 연구 집중 유망 분야로 중량 증가를 억제하기 위한 경량 전파 흡수 기술 극초음속 소형 고효율 엔진 기술 정밀상대 항법 기술(공중급유를 통한 체공 능력 보완) AI 기반 자율화 기술 개발(센서융합 상황인식, 위협회피, 실시간 자율협업) CPS/IoT/AI 기반 다수의 이종 무인체계 간의 고신뢰 협업 기술 개발을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세종대 AI로봇학과 송진우 교수가 ·무인복합(MUM-T) 통합 아키텍처 개발 현황이라는 주제로 발표에 나섰다. 송 교수는 전쟁 양상이 소모전에서 신속 대응 방식으로 변화함에 따라 미래 무기체계는 유·무인 복합체계가 중심이 될 것으로 전망되며, 이를 위해 기술의 모듈화와 표준화가 필요하다공통 아키텍처는 모듈화 표준화를 가능하게 하는 기본 플랫폼이 될 것이며 공통 아키텍처 정책은 MOSA(modular open system architecture) 형태로 실현된다고 유·무인 복합체계와 공통 아키텍처의 발전 방향과 향후 과제에 대해 설명했다.

이 기사 좋아요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