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밍밍한 듯 중독성 강한 맛, 한국을 대표하는 국수 ‘냉면’

평양냉면, 한류 바람 타고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다

전통의 맛과 현대적 변주, 한류와 함께 진화하는 냉면

단순한 국수를 넘어선 문화적 아이콘, 한류 속 냉면의 가치

김누리 기자 | 기사입력 2024/12/06 [08:36]

밍밍한 듯 중독성 강한 맛, 한국을 대표하는 국수 ‘냉면’

평양냉면, 한류 바람 타고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다

전통의 맛과 현대적 변주, 한류와 함께 진화하는 냉면

단순한 국수를 넘어선 문화적 아이콘, 한류 속 냉면의 가치

김누리 기자 | 입력 : 2024/12/06 [08:36]

냉면은 한국을 대표하는 독특한 국수다. 차가운 국수라는 개념은 세계적으로도 흔하지 않다. 물론 일본의 냉소바처럼 차갑게 먹는 메밀국수가 있지만, 우리 냉면처럼 육수까지 차갑게 식혀 먹는 경우는 드물다. 중국에서도 ‘중국식 냉면’이라는 이름으로 메뉴가 존재하지만, 이는 한국인의 입맛에 맞게 변형된 음식이다. 원래 중국의 차가운 국수인 ‘량멘’은 시원한 요리가 아니라 단지 뜨겁지 않은 상태의 음식이다.

 

냉면의 기원은 정확히 알기 어렵다. 기록상 처음 냉면이라는 단어가 등장한 것은 조선 중기다. 17세기 문인 장유가 남긴 시집 계곡집에서 냉면이라는 이름이 보인다. 시에서는 냉면의 육수를 두고 “지조 빛”이라 표현하며 그 맛을 독특하다고 묘사했다.

 

 

이를 통해 당시 냉면이 특별한 경험으로 여겨졌음을 짐작할 수 있다. 다만 이 시점까지 냉면은 대중화된 음식이라기보다는 일부 상류층 사이에서 특이한 별미로 자리 잡았던 듯하다.

 

냉면의 뿌리를 더 거슬러 올라가면 고려 시대의 ‘냉도(冷淘)’라는 음식을 발견할 수 있다. 냉도는 밀가루로 만든 차가운 국수로, 조선 후기 실학자 이긍익의 기록에 따르면 고려의 환관들이 여름철 더위를 식히기 위해 즐기던 음식이었다. 다만 냉도는 메밀로 만들어진 한국식 냉면과는 재료와 조리법 모두에서 차이가 컸다.

본문이미지

▲ 평양냉면은 메밀로 만든 면에 차가운 육수를 부어 먹는 한국의 전통 음식으로, 특히 평양 지역의 향토 음식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최근에는 한류의 영향으로 전 세계적으로 그 독특한 맛과 문화를 알리고 있습니다.    

 

냉면의 대중화와 평양냉면의 탄생

 

지금 우리가 즐기는 냉면과 가장 가까운 형태는 조선 후기부터 본격적으로 등장한다. 조선 후기 실학자 정약용은 냉면에 김치인 숭저(崧菹)를 곁들여 먹는다고 기록했고, 동시대의 유득공 역시 평양에서 냉면이 겨울철 별미로 인기가 높아 값을 올릴 정도였다고 전했다. 이는 냉면이 평양 지역을 중심으로 점차 대중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냉면의 계절적 특성도 주목할 만하다. 당시 냉면은 여름철 음식이 아니라 주로 겨울에 먹는 별미였다. 잘 익은 동치미 국물과 양지머리 육수를 섞어 시원하면서도 감칠맛 나는 국물을 만들고, 여기에 메밀국수를 더한 평양냉면은 특히 평양 지역에서 명성을 떨쳤다.

 

평양냉면의 특징은 국물에 있다. 동치미 국물과 고기 육수를 조화롭게 섞어내며 특유의 시원하고 담백한 맛을 만들어낸다. 이 국물은 지방의 기름기를 걷어내고, 동치미의 새콤한 맛과 깊이 있는 감칠맛을 동시에 살리는 방식으로 조리된다. 이런 이유로 평양냉면은 다른 지역의 냉면과도 차별화된 맛을 자랑했다.

 

평양냉면의 중독성 있는 매력

 

평양냉면은 단순히 음식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특히 평양 출신 사람들에게는 고향을 떠올리게 하는 향수의 상징이다. 현대인의 입맛에는 다소 밍밍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평양 사람들은 타향에서도 고향의 냉면 맛을 잊지 못했다고 한다. 이는 단순히 냉면의 맛 때문만은 아닐 것이다. 고향에 대한 그리움이 냉면이라는 음식에 고스란히 투영된 것으로 보인다.

 

냉면을 두고 평양에서는 “선주후면(先酒後麵)”이라는 말이 있었다. 이는 고기 안주와 함께 술을 마신 뒤 해장으로 냉면을 즐긴다는 뜻으로, 평양의 문화 속에 깊이 자리 잡은 냉면의 위상을 보여준다. 이와 함께 평양의 명물로 꼽히던 독한 술 ‘감홍로’와 냉면은 당시 평양 사람들의 미각을 책임졌던 주요 요소였다.

본문이미지

▲ 옥류관은 평양 대동강변에 위치한 북한의 대표적인 음식점으로, 특히 평양냉면으로 유명합니다. 1953년에 개업한 이래, 전통적인 조리법과 독특한 맛으로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아왔습니다.옥류관의 평양냉면은 메밀로 만든 면발과 시원한 육수, 그리고 다양한 고명을 특징으로 합니다. 이러한 전통적인 맛은 남북 교류의 상징으로도 여겨지며, 2018년 남북정상회담 만찬에서도 옥류관의 냉면이 제공되어 큰 화제를 모았습니다.    

 

현대 냉면과 전통 냉면의 차이

 

오늘날 평양냉면은 서울을 비롯한 도시에서 현대인의 입맛에 맞게 변형된 형태로 판매되고 있다. 전통 방식 그대로의 냉면은 현대인의 기준에서는 다소 심심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몇몇 전통 냉면 전문점은 여전히 본래의 맛을 유지하려 노력하고 있다. 전통 냉면이 가진 깊이 있는 맛과 단순함은 현대적 조미료에 익숙한 입맛과는 대조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평양냉면의 매력은 여전하다. 평양 출신의 어르신들은 “고향에서 먹던 냉면 맛이 평생 잊히지 않는다”고 말한다. 이는 단순히 음식을 넘어선 향토적 감성이 섞인 기억일 것이다. 과거 외국에 나간 한국인들이 김치를 가장 그리워했던 것처럼, 냉면은 특히 겨울철 평양 사람들의 마음속에서 고향을 떠올리게 하는 매개체로 자리 잡았다.

 

한국을 넘어서는 냉면의 가치

 

냉면은 이제 한국을 대표하는 음식 중 하나로 세계인의 관심을 끌고 있다. 한식의 세계화가 진행되는 가운데, 냉면은 독특한 조리법과 맛으로 많은 외국인들에게 신선한 충격을 준다. 냉면이 가진 매력은 그 자체의 맛뿐 아니라, 담백함 속에서 느껴지는 한국 고유의 문화적 정서와 전통에 있다.

 

 

냉면의 역사는 단순히 차가운 국수의 역사가 아니라, 한 민족이 자연환경과 식재료를 활용해 만들어낸 독창적인 음식 문화의 증거다. 앞으로도 냉면은 한국인의 고유한 맛을 대표하며, 세계 속에 한국의 음식 문화를 알리는 역할을 할 것이다.

이 기사 좋아요
기자 사진
시민포털 쇼핑,소상공인 환경 관련 뉴스 담당하고 있습니다
시민포털 김누리 기자입니다
시민포털은 지역언론, 지역경제 살리기, 지방언론 살리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