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Undefined index: HTTP_ACCEPT_ENCODING in /home/inswave/ins_news-UTF8-PHP7/sub_read.html on line 3
제작연대가 새겨진 우리나라 최고의 청동북:내외신문
로고

제작연대가 새겨진 우리나라 최고의 청동북

편집부 | 기사입력 2016/09/02 [10:59]

제작연대가 새겨진 우리나라 최고의 청동북

편집부 | 입력 : 2016/09/02 [10:59]


[내외신문=손영미 기자]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은 함통6년명 청동북 등 10건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하였다.
보물 제1907호 함통6년명 청동북은 문화재청과 국립중앙박물관의 문화재 보존관리 협력에 관한 협약(2013년)에 따른 국유문화재 지정 확대의 일환에 따라,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보물로 지정되었다.
경상북도에서 발견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는 이 청동북은 865년(경문왕 5)에 만들었다는 명문이 적혀 있어, 우리나라에서 제작연대가 새겨진 청동북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명문: 함통육세을유이월십이일성내시(?)공(?)사금구
청동북은 범종(梵鍾)과 함께 사찰 의식 때 범음(梵音)을 내는 주요 의식법구로 불교 전래 이후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지름 31.5cm, 폭 10.5cm의 아담한 크기인 이 청동북은 전체적으로 푸른 녹이 고르게 슬어 고풍스러운 느낌을 준다. 옆면은 두텁고 뒷면은 둥그렇게 입을 크게 벌린 모습이며, 앞면은 불법이 퍼져 나가듯 굵고 가는 선으로 이루어진 둥근 융기동심원을 돌려 당좌구(북을 치는 부분), 중구, 외구 등 세 부분으로 구분되어 있다.
옆면에는 위쪽에서부터 거의 90도 간격을 두고 세 곳에 고리를 달았으며, 그 여백 면을 돌아가며 북의 제작과 관련된 명문을 새겼다. 명문은 글씨의 좌우가 반대인 좌서로 쓰여 있으며, 그 내용은 제작 연대(865년)와 청동북의 명칭(금구) 등이 주류를 이룬 가운데 이룬, 이루다 등 이두식 표기도 눈길을 끈다.
한편, 이번에 보물로 지정된 목판 9건은 문화재청이 (재)불교문화재연구소와 함께 진행 중인 ‘전국사찰 목판 일제조사 사업’의 첫해(2014년) 조사결과로서, 시기성·명확성·완결성·희귀성 등의 측면에서 그 가치가 매우 뛰어나 보물로 인정받은 문화재이다.
보물 제1908호 묘법연화경 목판은 강화 전등사 소장본으로, 대방광불화엄경과 더불어 대표적인 불교 경전 중 하나인 묘법연화경을 새긴 것이다. 전체 105매 가운데 첫 부분인 1매가 없는 상태이나, 조선 초기부터 16세기까지 성행했던 성달생(1376~1444) 서체 계열의 묘법연화경 중 시대가 가장 앞서는 목판 자료라는 점에서 가치가 높다.
보물 제1909호 대방광불화엄경소 목판은 순천 송광사 소장본으로, 우리나라에 현재 전해지고 있는 불서 목판 중에서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다음으로 가장 방대한 자료인 2,347매가 현재 보존되어 있다. 이 목판은 승려인 벽암 각성(1575~1660) 등이 중심이 되어 1년 4개월에 걸친 짧은 기간에 전문인력 50여 명을 동원하여 만든 것으로, 간행 시기와 목판 수량 등에 있어 문화재적 가치가 크다.
우리나라에 들어온 대방광불화엄경소는 중국 당의 승려 징관이 해석한 대방광불화엄경 80권본에 대하여 송의 승려 정원(1011∼1088)이 다시 알기 쉽게 풀이한 120권본이다. 고려 때 2,900여 장의 판본이 국내에 수입되어 유통되었고, 조선 시대에는 세종 연간에 왕실이 중심이 되어 판각한 이래 황해도 귀진사(1557~1564), 경기도 용복사(1629~1631), 순천 송광사(1634~1635)에서 전질을 간행하였다. 현재 귀진사와 용복사 간본은 목판이 남아 있지 않을뿐더러 책자 역시 아주 일부분만 전해지고 있다.
보물 제1910호 계초심학인문(언해) 목판은 불교를 수행하는 초보자가 경계해야 할 내용을 적은 보조국사 지눌의 계초심학인문을 비롯하여 (사)법어, 몽산화상법어약록 등이 함께 수록된 계초심학인문을 한글로 풀어쓴 언해본이 새겨진 목판이다. 순천 송광사 소장본으로서, 총 47매 가운데 현재 45매가 남아 있다. 세조 연간에 간경도감에서 ‘몽산화상법어약록’과 ‘(사)법어’를 언해하여 간행한 판본이 전해지고 있으나, 송광사의 계초심학인문(언해)은 종합적인 구성에 한자음을 달고 언해까지 첨부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보물 제1911호 인천안목 목판은 순천 송광사 소장본으로서, 전체 42매가 온전하게 전해지고 있다. 인천안목은 남송의 승려 청안 지소가 펴낸 책으로 당시 중국 선종의 5가인 임제종, 위앙종, 조동종, 운문종, 법안종의 핵심적인 내용을 알리기 위한 가르침들을 수록하였다. 이 책은 1357년 고려 수경선사본이 간행되었고, 이후 1395년 양주 회암사본, 1529년 순천 송광사본, 1530년 진산 서대사본 등이 판각되었던 적이 있으나, 모본이 되는 목판이 전해지는 것은 이 목판이 유일하다.
보물 제1912호 종경촬요 목판은 순천 송광사 소장본으로, 모두 17매로 구성되어 있다. 종경촬요는 북송의 승려 영명연수가 편찬한 종경록의 요점을 간추려 엮은 책으로, 1213년 수선사(현재의 송광사)에서 진각국사 혜심이 주관하여 재간행하였다는 기록이 있으나 현재 전해지고 있는 목판은 없다. 송광사 소장본 종경촬요 목판은 1531년 조계산 은적암에서 다시 만든 것으로 지금까지 남아 있는 유일판이다.
보물 제1913호 청량답순종심요법문 목판은 순천 송광사 소장본으로, 당나라 승려 징관이 당나라 제10대 황제 순종(順宗)의 물음에 따라 법문에 이르는 긴요한 진리를 간명하게 설법한 청량답순종심요법문을 2매의 목판에 새긴 것이다. 비록 수량은 적으나, 1531년에 송광사에서 간행된 이후 계속 송광사에 온전하게 전해지고 있는 목판으로서 중요한 자료이다.
보물 제1914호 천지명양수륙잡문 목판은 순천 송광사 소장본으로, 수륙재(水陸齋)에 관한 불교의식집인 천지명양수륙잡문144장을 총 38매의 목판에 새긴 것이다. 일부 닳아서 없어진 글자가 있기는 하지만 목판의 간행기록(1531년, 중종 26)에서 알 수 있듯이, 조선 시대에 간행된 천지명양수륙잡문의 현재 남아 있는 판본 중 가장 오래된 것이며 완전하게 전해지고 있어 가치가 크다.
보물 제1915호 달마대사관심론 목판은 서산 개심사 소장본으로, 중국 선종의 시조인 보리달마가 설한 심론을 정리한『달마대사관심론』을 새긴 것이다. 1580년에 제작된 이 목판은 제1장부터 제22장까지의 내용 전체를 총 8판에 새긴 것으로, 제1~21장까지는 1~7판에 새겨져 있고 마지막 판에는 제22장과 도가논변모자이혹론의 17장이 함께 담겨 있다. 조선 시대에 간행된 달마대사관심론은 고창 문수사 간본(1538), 무등산 안심사 간본(1570) 등이 있으나, 목판으로 현재 전해지는 것은 개심사 소장본이 유일하다.
보물 제1916호 달마대사혈맥론 목판은 서산 개심사 소장본으로, 중국 선종의 시조인 보리달마의 법문을 문답형식으로 기록한 달마대사혈맥론 제1~20장을 목판 7매에 담은 것이다. 팔(八) 자형으로 굽어진 목판도 사용하였는데, 이 경우에는 굽어진 형태에 맞추어 내용을 새겨 놓았다. 이렇게 서적을 목판의 크기나 모양에 맞추어 자유분방하게 새긴 사례는 매우 특이한 경우에 속한다.
이 목판은 1579년 5월 간행되어 지금까지 거의 완전하게 전해지고 있다. 조선 시대에 간행된 달마대사혈맥론이 국내에 책으로 남아 있는 것 중 개심사 소장본보다 앞선 판본으로는 광양 옥룡사 간본(1473), 무등산 안심사 간본(1570) 등이 있으나, 목판이 완전하게 전해지고 있는 것은 개심사 소장 달마대사혈맥론 목판뿐이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보물로 지정한 문화재가 체계적으로 보존?활용될 수 있도록 해당 지방자치단체, 소유자(관리자) 등과 적극 협조해 나갈 계획이다.
이 기사 좋아요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