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연금 월수령액이 지역별로 3배 가량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8월 말 기준, 서울이 161만 4천 원으로 가장 많았고, 전라남도는 53만 5천원으로 가장 작았다.
20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유의동 의원(경기평택시을, 국민의힘)이 주택금융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주택연금 지역별 공급실적’에 따르면, 올해 8월 말 기준 주택연금 월평균 수령액은 113만 7천원이었다.
지역별로 서울이 161만 4천원으로 가장 많았고 경기 123만 7천원, 대전 100만 4천원 순이었다. 반면 전라남도는 월평균 수령액 53만 5천원으로 17개 시·도 중 가장 작았다. 경상북도 56만 1천원, 전라북도 59만 2천원으로 수령액이 작은 편에 속했다.
주택연금 가입자는 6,636명이다. 수도권 지역인 서울·경기·인천 가입자가 4,125명으로 전체 주택연금 가입자의 62.2%를 차지했다. 비수도권 지역 가입자는 주택연금 가입자는 2,511명이었다. 비수도권 지역에서 부산, 대구, 경남을 제외한 지역들의 주택연금 가입비율은 5% 미만이었고, 세종 0.2%, 제주 0.8%로 가입비율이 1% 미만인 곳들도 있었다.
유의동 의원은 “국민들의 노후대책으로 떠오른 주택연금의 지역별 격차가 너무 극심하다”며, “전국단위로 시행되고 있는 주택연금 제도의 취지를 생각해서 지역격차를 심화시키지 않도록 보완책을 마련해가야 한다”고 주문했다.
[참고] 지역별 주택연금 공급 건수 및 평균 월지급금
(단위 : 건, 천원)
|
구분 |
’18 |
’19 |
’20.8 |
|||
건수 |
평균 월지급금 |
건수 |
평균 월지급금 |
건수 |
평균 월지급금 |
||
수 도 권 |
서울 |
2,538(24.8%) |
1,513 |
2,752(25.1%) |
1,518 |
1,632(24.6%) |
1,614 |
경기 |
3,184(31.1%) |
1,121 |
3,545(32.3%) |
1,127 |
2,106(31.7%) |
1,237 |
|
인천 |
684(6.7%) |
830 |
637(5.8%) |
829 |
387(5.8%) |
870 |
|
총 / 평균 |
6,406(62.6%) |
1,154 |
6,934(63.1%) |
1,158 |
4,125(62.2%) |
1,240 |
|
비 수 도 권 |
부산 |
966(9.4%) |
1,013 |
1,066(9.7%) |
946 |
591(8.9%) |
934 |
대구 |
500(4.9%) |
895 |
519(4.7%) |
877 |
344(5.2%) |
941 |
|
광주 |
215(2.1%) |
692 |
247(2.2%) |
784 |
153(2.3%) |
720 |
|
대전 |
240(2.3%) |
740 |
249(2.3%) |
844 |
197(3.0%) |
1,004 |
|
울산 |
148(1.4%) |
717 |
149(1.4%) |
779 |
83(1.3%) |
768 |
|
충북 |
198(1.9%) |
597 |
200(1.8%) |
586 |
108(1.6%) |
600 |
|
충남 |
225(2.2%) |
643 |
214(1.9%) |
627 |
108(1.6%) |
630 |
|
세종 |
27(0.2%) |
913 |
31(0.3%) |
792 |
13(0.2%) |
789 |
|
전북 |
230(2.2%) |
553 |
222(2.0%) |
601 |
157(2.4%) |
592 |
|
전남 |
89(0.9%) |
555 |
105(1.0%) |
591 |
98(1.5%) |
535 |
|
경북 |
219(2.1%) |
594 |
256(2.3%) |
579 |
134(2.0%) |
561 |
|
경남 |
541(5.3%) |
623 |
527(4.8%) |
622 |
334(5.0%) |
633 |
|
강원 |
179(1.7%) |
618 |
196(1.8%) |
645 |
139(2.1%) |
700 |
|
제주 |
54(0.5%) |
1,154 |
67(0.6%) |
1,067 |
52(0.8%) |
990 |
|
|
합계 |
10,237 |
1,069 |
10,982 |
1,077 |
6,636 |
1,13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