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Undefined index: HTTP_ACCEPT_ENCODING in /home/inswave/ins_news-UTF8-PHP7/sub_read.html on line 3
세계 경제 침체 국면 ‘미·중 무역갈등 원인’ 한국 수출 9%하락:내외신문
로고

세계 경제 침체 국면 ‘미·중 무역갈등 원인’ 한국 수출 9%하락

세계 경제 침체 ‘각자도생’ 원인다국적 기업 투자심리 위축

전용현 기자 | 기사입력 2019/11/07 [20:20]

세계 경제 침체 국면 ‘미·중 무역갈등 원인’ 한국 수출 9%하락

세계 경제 침체 ‘각자도생’ 원인다국적 기업 투자심리 위축

전용현 기자 | 입력 : 2019/11/07 [20:20]

 

세계 경제가 침체 국면에 들어서고 있다. 올해 7월까지 우리나라는 세계 10대 수출대국 가운데 우리나라의 수출 감소 폭이 가장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 경제가 침체 국면에 들어서고 있다. 올해 7월까지 우리나라는 세계 10대 수출대국 가운데 우리나라의 수출 감소 폭이 가장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수출 9% 줄어

세계 10대 수출국이라 하면 지난해 수출액 기준으로 상위 10위에 드는 중국과 미국, 독일, 일본, 네덜란드, 우리나라를 꼽을 수 있다. 이중 우리나라의 수출 감소 폭이 가장 컸으며 누계 수출액은 32백억 달러, 380조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무려 9% 가까이 줄어든 수치다.

 

유럽연합과 일본은 1%내외 성장률이 예상되고 있으며 미국 역시 내년에는 1%대 경제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중국도 미국과의 무역갈등 여파와 경기부양책의 한계로 5%이하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은 소비 증가를 기반으로 성장세를 유지했던 제조업 침체가 심화되면서 내년에는 1%대 성장에 그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대규모 감세정책과 재정확대로 재정적자 규모가 대폭 늘어나면서 경기부양을 위한 재정 지출은 크게 늘리지 못하고 있다.

 

중국의 기업 부채 상황이 심각한 수준이다. 중국의 기업 부채는 지난해 기준 198000억 달러로 금융위기 때보다 4.4배 늘어난 액수다. 회사채 채무불이행 규모가 전년 대비 4배가량 급증했고, 올해도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세계 경제 침체 각자도생원인

전문가들은 세계적인 경제 침체가 되고 있는 이유로 각자도생의 길로 나가는데 원인을 두었다. 각자도생을 선택하며 교역, 투자, 인력·정보 교류 등 세계화의 흐름이 후퇴하는 글로벌 저성장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세계 경제 성장에 견인차 역할을 해왔던 미국과 중국까지 정부와 기업의 부채 급증으로 인한 경기부양 정책의 여력이 줄어든 상황이다. 이는 글로벌 저성장이 장기화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외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의 경우 경제에 큰 타격을 입을 수 있는 상황이다.

 

5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지난 8OECD 회원국 전체의 경기선행지수는 99.06으로 전월보다 0.04포인트 하락했다. OECD 경기선행지수는 6~9개월 뒤 경기 흐름을 예측하는 지표로 100 이상이면 경기 확장, 아래로 떨어지면 경기 하강으로 해석된다.

 

다국적 기업 투자심리 위축

세계 경제 침체의 원인으로 미국과 중국의 무역갈등으로 인한 글로벌 분업화를 주도했던 다국적 기업 중심의 투자심리가 위축되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과거 최종재만 거래되었던 전통적인 무역형태가 최근에는 글로벌 분업구조를 통해 자본재와 중간재의 수출 비중이 늘어났었다. 하지만 미국과 중국의 갈등으로 인해 이러한 부분에 타격을 입은 것으로 판단된다.

 

업종별로 부진을 겪고 있는 분야는 기계장비와 자동차 부문으로 꼽을 수 있다. 특히 기계장비의 경우 설비투자와 관련이 높아 투자가 이뤄지지 않으면 빠른 하락을 보이는 업종이기도 하다. 자동차 부문은 사업구조의 변화가 일어나며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판매량이 줄어든 실정이다.

 

기업 부채 역시 경제성장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저금리 기조와 양적완화로 전 세계 레버리지론 규모가 지난 9월 기준, 2007년에 비해 두 배 늘어난 14000억 달러에 달한다.

 

김선경 국제금융센터 연구원은 경기둔화, 무역분쟁 등 경제적 불확실성이 장기화될 경우 기업 신용등급 하향과 함께 채무불이행(디폴트)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이 기사 좋아요
기자 사진
시민포털 지원센터 대표
내외신문 광주전남 본부장
월간 기후변화 기자
사단법인 환경과미래연구소 이사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