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서울 집값의 역사..정조시대 쪽방촌이?

서울 집값 문제, 조선시대부터 시작된 고질적 과제

서울로 몰려든 사람들, 주거 형태의 변화와 역사

현대 서울의 집값 상승, 문화적 배경과 사회적 인식의 영향

전용현 기자 | 기사입력 2024/11/10 [14:44]

서울 집값의 역사..정조시대 쪽방촌이?

서울 집값 문제, 조선시대부터 시작된 고질적 과제

서울로 몰려든 사람들, 주거 형태의 변화와 역사

현대 서울의 집값 상승, 문화적 배경과 사회적 인식의 영향

전용현 기자 | 입력 : 2024/11/10 [14:44]

 

본문이미지

▲ 서울의 대표하는 남산타워    

 

 

서울 집값 문제는 오랜 역사를 가진 한국 사회의 고질적 과제다. 흔히 서울 집값 상승을 현대 도시화와 경제 성장의 결과로 보지만, 그 뿌리는 수백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조선시대부터 한양(현재 서울)은 정치, 교육, 경제의 중심지로, 그 자체로 권력과 지식을 좇는 이들이 모여드는 장소였다. 왕조 시대의 한양은 단순한 수도 이상의 의미를 지녔으며, 이는 주거 문제를 비롯한 다양한 사회적 문제로 이어졌다.

.

조선 후기, 양반들은 과거 시험을 준비하기 위해 한양으로 몰려들었고, 백성들도 일자리를 찾아 한양으로 향했다. 한양은 중앙 정부가 위치한 곳이자 신분 상승의 기회를 제공하는 장소였다. 그 결과, 인구 밀집은 주거 수요를 폭발적으로 증가시키며 다양한 주거 형태와 부동산 투자의 원형을 만들어냈다. 정조 시대의 대표적인 사례로는 어영청의 대장 윤태연이 있다. 그는 한양에서 방 10칸짜리 집을 매입한 후, 이를 30칸으로 나누어 임대하는 ‘쪽방 재테크’를 활용했다. 이는 현재의 재개발 및 다세대 주택 운영 방식과 유사한 개념으로, 임대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방법이었다.

 

윤태연의 사례는 서울 주거 문제의 시작을 보여주는 한 단면이다. 당시 서울은 유학자와 양반, 일반 백성들 모두에게 인생의 기회를 제공하는 도시였으며, 이는 조밀한 주거 형태를 불가피하게 했다. 성균관에 다니던 유생들조차 조를 이루어 작은 방 하나를 임대해 하숙 생활을 해야 할 정도로 주거 공간은 부족했다. 성균관은 국가의 학문적 중심지였지만, 그 주변의 생활 환경은 그리 풍족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성균관 유생들은 하숙비를 아끼기 위해 2인 1조로 방을 빌려 함께 생활하는 방식을 택해야 했다.

 

정약용 같은 학자들조차 ‘인(in) 서울’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한양에서 10리(약 4㎞) 이내에 거주해야 중앙 정부의 영향력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의 사상은 이후 서울 중심지에 거주하는 것을 중시하는 인식으로 이어졌다. 이런 인식은 시간이 지나면서 더욱 강화되었다. 근대화 과정에서 서울은 서구식 주택이 들어서며 현대적 부동산 개념이 도입되었다. 하지만 서울 집값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며, 집을 소유하는 것이 곧 경제적 지위를 나타내는 상징이 되었다.

 

이후 한국전쟁과 산업화 시기를 거치며 서울은 빠르게 성장했고, 이 과정에서 주택 부족 문제는 더욱 심화되었다. 서울의 주거지 수요는 계속해서 증가했고, 도시 재개발과 아파트 건설이 본격화되었다. 1970년대 이후, 서울에는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며 오늘날의 서울 주택 구조를 형성했다. 당시에는 국민 주택이라는 개념이 등장하여 많은 이들이 집을 소유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되었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서울 집값은 꾸준히 상승하며 여전히 일반 시민들이 주택을 구입하기 어려운 환경을 조성했다.

 

서울의 집값 상승은 단순히 경제적 요인뿐만 아니라, 한국 사회의 전통적 가치관과 문화적 배경에 깊이 뿌리를 두고 있다. ‘서울에 살아야 성공할 수 있다’는 인식은 여전히 강하게 남아 있으며, 이는 전국에서 서울로의 인구 집중 현상을 일으킨다. 이러한 인식과 부동산 투자 열풍은 집값 상승의 주된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동시에 정부는 주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내놓았지만, 주택 시장의 구조적 특성과 투기적 성향이 맞물리면서 집값 안정에는 한계가 있었다.

 

오늘날 서울의 주택 시장은 높은 집값과 임대료 문제로 서민들이 집을 구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과거 조선 시대 한양에서의 주거 문제와 지금의 서울 집값 문제는 본질적으로 다르지만, 집에 대한 인식과 그를 둘러싼 사회적 환경은 여전히 유사한 부분이 많다. 이는 서울이 오랜 기간 동안 특정 계층이 선호하는 장소로 자리매김해 왔으며, 그 결과 주거지 수요가 지속적으로 높아진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서울의 집값 문제는 이제 단순히 한 도시의 문제를 넘어 한국 사회 전반의 문제로 자리 잡았다. 주거 불안정과 빈부 격차가 서울이라는 공간에서 더욱 명확하게 드러나며, 이는 도시 정책의 주요 과제로 남아 있다.

 

이 기사 좋아요
기자 사진
시민포털 지원센터 대표
내외신문 광주전남 본부장
월간 기후변화 기자
사단법인 환경과미래연구소 이사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