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예상치의 40%도 안 걷히는 법인세... ‘역대 최저’..정부는 그래도 감세?법인세 수입 급감, 국세 수입 타격
|
|
전체 세수의 20% 이상을 차지하는 법인세 실적에 빨간불이 켜지며 국세 수입도 타격을 입고 있다. 6월까지 국세 수입은 1년 전보다 9조9800억 원(5.6%) 줄어든 168조6000억 원이었다. 올 한 해 예상치의 45.9%에 해당해 최근 5년 평균 진도율(52.5%)보다 7%포인트 가까이 낮다. 지방세수 역시 기업 실적 악화로 비상이 걸렸다. 더불어민주당 양부남 의원이 전국 17개 시도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6월까지 지방세 진도율이 지난해보다 하락한 곳은 서울과 경기, 인천 등 모두 10곳이었다. 지난해 기업 실적이 부진하면서 법인이 내는 지방소득세까지 줄어든 게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은 6월까지 지방세를 11조 원 걷어 올해 예상치(약 28조4000억 원)의 38.9%를 걷는 데 그쳤다. 지난해보다 1.2%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경기도 역시 상반기 진도율이 44.2%로 1년 전보다 2.7%포인트 하락했다. 전남의 경우 올해 진도율이 48.7%로, 1년 전보다 7.5%포인트나 떨어져 감소 폭이 가장 컸다.
지방의 세수 상황이 더욱 심각해짐에 따라 정부는 다양한 대책을 검토 중이다. 우선, 중앙정부는 지방정부에 대한 재정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지방세수 부족분을 메우기 위해 지방교부세와 지방채 발행 한도를 조정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정부는 기업의 경영 환경을 개선하고 투자 촉진을 위해 세제 혜택과 규제 완화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기업 실적을 회복시키고, 세수 기반을 강화하려는 노력이 병행될 것이다.
하지만 법인세 수입이 급감하는 상황에서도 정부가 감세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점은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현재와 같은 경제 상황에서 감세는 오히려 세수 부족을 심화시키고, 재정적 어려움을 가중시킬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기업의 실적 악화와 함께 법인세 수입이 감소하는 시기에 감세는 국가 재정에 큰 부담이 될 수 있다.
정부의 감세 정책은 단기적으로는 기업 부담을 줄여줄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세수 기반을 약화시키고 사회 복지와 공공 서비스에 필요한 재정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세수 감소와 재정 적자를 고려해 감세 정책을 재검토하고, 보다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결국, 정부는 세수 확보와 경제 활성화 사이에서 균형을 잡아야 한다. 감세와 같은 정책이 기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는 있지만,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충분한 세수 확보 방안도 함께 마련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국가 재정에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으며, 이는 결국 국민에게 돌아오는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