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Undefined index: HTTP_ACCEPT_ENCODING in /home/inswave/ins_news-UTF8-PHP7/sub_read.html on line 3
[기획] 정송 "빅데이터·AI 전문 교수 인력 유치, 정부 정책·사업 필요":내외신문
로고

[기획] 정송 "빅데이터·AI 전문 교수 인력 유치, 정부 정책·사업 필요"

박성현 "미래에는 AI와 빅데이터를 모두 다룰 수 있는 인재가 대접받을 것""2022년까지 빅데이터·AI 전문인력은 5만 8천여 명 양성해야"정송 "AI개발 및 'Open Problem 도전·해결 인력' 양성해야"

백혜숙 기자 | 기사입력 2019/10/05 [15:58]

[기획] 정송 "빅데이터·AI 전문 교수 인력 유치, 정부 정책·사업 필요"

박성현 "미래에는 AI와 빅데이터를 모두 다룰 수 있는 인재가 대접받을 것""2022년까지 빅데이터·AI 전문인력은 5만 8천여 명 양성해야"정송 "AI개발 및 'Open Problem 도전·해결 인력' 양성해야"

백혜숙 기자 | 입력 : 2019/10/05 [15:58]
지난 4일 국회에서 열린 '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력양성 방안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토론회에서 서울대학교 통계학과 박성현 교수(한 국시니어과학기술인협회 고문 겸임)가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 백혜숙 기자)
지난 4일 국회에서 열린 '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력양성 방안–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토론회에서 서울대학교 통계학과 박성현 교수(한 국시니어과학기술인협회 고문 겸임)가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 백혜숙 기자)

[내외신문= 백혜숙 기자] '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력양성 방안–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토론회가 지난 4일 국회에서 개최됐다. 이 토론회에서 서울대학교 통계학과 박성현 교수(한 국시니어과학기술인협회 고문 겸임)는 "대학에서의 AI, 데이터 과학의 유기적인 융합교육이 중요하다"며 "향후 데이터·AI 경제시대에는 AI와 빅 데이터를 모두 다룰 수 있는 인재가 최고 전문가로 대접받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 교수는 이날 제1주제 발표를 통해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관련, 전문가 인원수'에 대해서 언급했다. 그는 "2022년까지 빅데이터 전문인력은 약  16,000명, 데이터 전문인력은 추가로 40,000명 정도 양성돼야 한다"면서 "AI 인력은 2022년까지 추가로 약 2,100 명 정도 더 양성돼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데이터 고속도로를 뚫어야 한다"며 "현재 개인정보보호법, 정보통신망법, 신용정보법 등에 개인정보 사용금지로 최하위권인 56위의 빅데 이터 사용 및 활용능력'을 초래케 하고 있다. 최소한 가명 정보는 자유롭게 사용하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대학에서 AI와 빅데이터 과목을 교양필수로 지정하고 중 고교에서도 데이터·AI 등의 소양을 쌓도록 해야 한다"며 "대학에 자율성을 부여 해 기업과 공동임용이 가능하도록 산학협력 방식을 개혁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외에도 그는 "전국을 4개의 지역 허브로 구성하고 국가 AI·빅데이터 연구원을 설립해 이를 관리 운영케 해야 한다"며 "부족한 인력 양성을 위해서는 AI 빅데이터 국가 공인자격제도를 신설해 인력을 양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제2주제 발표자인 KAIS 전기 전자공학부 교수이자 KAIST AI대학원의 원장을 맡고 있는 정송 원장은 "AI top-level 교수 인력 유치에 특화된 정부  정책이나 사업이 필요하다"며 "예를 들어, 정부에서 학교에 교수 유치 일인당 목적으로 연 10억을 10년간 주는 사업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예시했다. 이어 "이럴 경우, 연 10억을 가지고 학교는 추가 연봉, 자녀교육비, 주거비 등을 제공할 수 있는 리쿠르팅 파워가 생긴다"며 "물론,  완전 이적을 전제로 하지 않으면 기존의 세계 수준의 연구중심대학 육성 사업(World Class University, 약칭 WCU)이나 교육과학기술부가 주관하는 '기초과학연구원'(IBS) 사업에서 드러난 것과 같은 돈만 받아먹고 튀는 소위 먹튀들을 양성할 수 있어 조심스럽게 기획돼야 한다"고 토로했다.

아울러 "또는 이런 방법을 기업과도 연계할 수 있겠다"며 "아예 교수(primary)로 유치는 하되 기업(secondary)에도 직을 주는 것이고 정부와 기업이 비용을 분담하는 구조다. 여기서 primary를 학교로 두는 것이 중요하다. 기업은 결국 그들을 도구화 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산학 연계에 방점을 두되 중심은 학교에 두도록 하여야 top-level 인재들이 들어올 것"이라고 예측했다.

더불어 "AI인력 수요는 그 레벨의 차이에 따라 4계층 정도로 나누어지며 이를 고려한 인력 양성 정책이 마련되는 것이 필수"라면서 "AI인력 피라 미드라는 관점에서 볼 때 가장 밑에는 'AI를 기존 산업 영역에 활용할 수 있는 인력'수요가 있으며, 그 위에는 'AI 플랫폼 및 소프트웨어·하드웨어 시스템을 개발하는 인력', 그 위에는 '새로운 AI모델과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인력', 마지막으로 최상위 계층에는 'AI의 open problem에 도전하 고 해결하는 AI를 과학으로 다루는 인력'수요"라고 적시했다. 이에 더해 "인재 양성 정책은 각 계층에 맞추어 별도로 마련돼야 하며 마찬가지로  R&D 정책도 그렇다"면서 "AI대학원 사업은 이 인력 피라미드의 상위 2계층 인력 양성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토론회를 주최한 바른미래당 신용현 의원은 이날 환영사에서 "올해 투입된 국가 R&D 예산 20조 원을 분석해보면, 정부는 5G, 클라우드 , 바이오, 드론 등 여러 분야에 일정 정도 고르게 분배하는 백화점식 지원책을 채택했다"며 "이에 저는 지난 7월 대정부질문에서 문재인 정부 3년 간 'AI분야 100조원 지원, 100만 인재 양성'이라는 국가 차원의 AI총력 지원을 제안한 바 있다"고 소개했다.

같은 당의 임재훈 의원도 환영사에서 "국내 빅데이터 전문인력은 9,321명으로 산업계에서 필요로 하는 인력의 59% 수준에 불과한 실정"이라며 "국 회차원에서 다음 세대가 4차 산업혁명시대를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교육적 지원을 아끼지 않고 합리적으로 정책이 추진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고 다짐했다.

이 기사 좋아요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